양치를 열심히 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입냄새가 사라지지 않거나 오히려 갈수록 심해져서 고민인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럴 때는 생활습관에 문제가 있거나 혹은 특정 질병의 가능성도 의심해 보아야 하는데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입냄새가 심해지는 이유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입냄새가 심해지는 이유
먼저 본인에게 입냄새가 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숨을 1~2분 정도 참은 뒤에 손바닥에 대고 하~ 숨을 길게 내뱉는 것입니다. 이후에 냄새가 나는지를 확인하면 됩니다. 또는 플라스틱 숟가락을 이용해 혓바닥의 설태를 긁어낸 후에 냄새를 맡아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1. 생활 요인
가장 먼저 알려드릴 입냄새가 심해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의 생활 요인 때문입니다. 먼저 너무 맵거나 향이 강한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것은 아닌지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향이 강한 것들로는 대표적으로 마늘, 양파, 생강 등이 있습니다. 이 경우 양치를 해도 구취가 잘 사라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요인으로 물을 잘 마시지 않는 것입니다. 이 경우 입안이 쉽게 건조해지면서 세균과 바이러스가 빨리 증식하게 되고, 이것이 입속 음식 찌꺼기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냄새를 유발하는 화학물질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입으로 숨을 쉬는 버릇도 입냄새가 심해지는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역시 구강 건조를 가속화시키는 요인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코감기나 축농증, 비염 등으로 코가 자주 막히는 분들이라면 이를 적극적으로 치료하거나, 수시로 생리 식염수를 이용해 코세척을 해주면 도움이 됩니다.
또 당분이 많이 들어간 음료도 구취를 잘 유발할 수 있으며, 과도한 흡연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생활적인 요인들이 있는 것은 아닌지 꼼꼼하게 점검하여 하나씩 고쳐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특히 흡연을 하고 있다면 줄이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금연을 하시기 바랍니다.
2. 구강 건조증
입안에서 분비되는 침은 건조함을 방지해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소화에 관여하고, 살균작용을 통해 입속 세균과 박테리아 등을 없애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침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분비되거나, 빠르게 증발하는 질환을 구강 건조증이라고 합니다.
물론 정상적인 사람이라도 피로가 누적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등 특정한 상황에서 침 분비량이 줄어들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너무 과도하다면 입냄새가 심해지는 이유로 구강 건조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때는 이비인후과에서 별도의 치료를 받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일상 속에서도 침이 잘 분비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를 해주어야 하는데요. 먼저 물을 자주 섭취해주어야 하며, 신맛이 나는 과일이나 음식을 먹어주는 것도 침샘을 자극하여 침이 더 잘 나오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3. 기타 구강 질환
구강 건조증 외에도 입냄새가 심해지는 이유가 되는 질병은 많이 있습니다. 충치나 치은염, 치주염 등이 있어도 구취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양치를 해도 별다른 효과가 없기 때문에 치과에서 치료를 받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입안이 건조해지는 것과 함께 눈과 피부 건조도 유독 심하다면 쇼그렌 증후군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 질환은 몸의 여러 분비샘에 장애가 발생하여 분비액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증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침, 눈물, 땀, 각종 소화액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도 역시 병원 치료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질환은 아니지만 혀에 백태가 많이 끼는 경우에도 이것이 입냄새가 심해지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때문에 양치질을 할 때는 치아만 닦는 것이 아니라 혓바닥에 있는 백태도 함께 닦아주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4. 위장질환
어쩌면 입냄새가 구강 내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위장에서부터 올라오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위식도 역류질환이 있는데요. 이것은 위속의 내용물과 위산이 거꾸로 역류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목에 이물감이 자주 느껴지거나 쓴물 혹은 신물이 자주 넘어오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소화가 전반적으로 잘되지 않으면 위장에서 독소와 가스가 많이 생성되고 이것이 위로 올라오면서 구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복부팽만, 가스, 속쓰림, 설사, 변비, 구역감 등 소화기 증상이 동반되고 있지는 않은지도 잘 점검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입냄새가 심해지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기본적으로 양치질을 꼼꼼하게 해주고, 물을 자주 섭취하는 것을 실천해 주어야 합니다. 이외에 금연을 해주고, 자극적은 음식 섭취를 제한하는 등 여러 노력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냄새가 사라지지 않거나, 다른 증상이 동반되고 있다면 치과에서 치아 검진을 받거나, 이비인후과에서 증상을 설명한 후 그에 맞는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