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먹으면 졸림 5가지 졸린 이유 뭘까? 식곤증 해결방법

식사를 하고 나서 쏟아지는 졸음 때문에 업무나 학업에 지장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를 식곤증이라고 하는데요. 졸립다고 낮잠을 오래 자버리면 밤에 불면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밥 먹으면 졸림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이고, 이에 대한 해결방법은 무엇인지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밥 먹으면 졸림

식곤증 해결방법을 위해서는 우선 식후 졸음이 왜 생기는지를 명확히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원인에 맞는 해결책을 찾아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다양한 유발 요인이 있겠지만 여기서는 대표적인 5가지를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경우에 따라 병원 진료가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본인 몸 상태를 잘 점검해 주시기 바랍니다.

1. 과식

음식물을 섭취하면 이를 소화시키기 위해 위장이 활발하게 작동합니다. 이 과정에서 몸의 혈류가 소화기관에 집중되어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게 되는데요. 그럼 상대적으로 뇌의 혈류량이 줄어들게 되고 이것이 졸음을 유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과식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그만큼 위장으로 몰리는 혈류량이 많아지게 되고, 뇌는 지속적인 혈류 부족에 시달리면서 밥 먹으면 졸림 현상이 더욱 심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본인이 과식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도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2. 생체리듬

어쩌면 식후 졸음이 식사 때문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생체 반응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 몸은 기상 후 8시간이 지났을 때 졸음을 느끼도록 생체 리듬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만약 아침 6시에 일어났다면 오후 2시 정도에 잠이 쏟아지는 것입니다.

즉 점심 식사를 해서 졸린 것이 아니라 생체리듬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 경우에는 잠시 밖으로 나가 산책을 해주는 것이 잠을 깨는데 도움이 됩니다. 졸음을 정 참기 힘들다면 10~15분 정도로 짧게 잠을 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당뇨병 혹은 전단계

당뇨란 혈액 속의 포도당이 에너지로 사용되지 못하고 소변으로 빠져나가는 증상을 말합니다. 그래서 식사를 잘 했음에도 불구하고 몸은 늘 에너지 부족에 시달리게 되고, 이로 인해 몸이 하루 종일 피곤하며 졸릴 수 있습니다.

또 밥을 잘 먹어도 체중이 계속 빠지게 되며, 소변량이 증가하면서 갈증도 자주 느낍니다. 또 소변이 유난히 놀하고 단 냄새가 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식곤증 해결방법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우선은 혈당 검사를 통해 당뇨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4. 간 기능 저하

간 건강이 나빠졌을 때도 밥 먹으면 졸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간은 몸속의 해로운 물질을 해독하고 살균하는 작용도 하지만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과 각종 무기질의 대사에도 깊게 관여합니다. 따라서 간 기능이 저하되면 음식물을 섭취해도 이것이 영양분으로 잘 흡수되지 못해 늘 피곤하고 졸릴 수 있습니다.

간의 기능 저하가 심해지면 눈 흰자와 피부색이 노랗게 변하는 황달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특히 피부에 거미모양의 붉은 반점이 나타났다면 간 조직이 딱딱하게 굳는 간경변증 가능성도 있는 것이므로 꼭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5. 수면장애

수면과 관련된 질환으로 인해 밥 먹으면 졸림 현상이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기면증이 있는데요. 이 질환은 낮에 발작적인 졸음으로 잠에 빠지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만약 식후 졸음이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나타나서 내 의지와 상관없이 실제로 잠을 자게 되는 분들이라면 기면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어쩌면 수면무호흡증(코골이)이나 이갈이 등의 수면장애로 인해 숙면을 잘 취하지 못하는 것이 낮에 심한 졸음을 유발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만약 7~8시간 동안 충분히 잠을 잤는데도, 아침에 일어났을 때 개운하지 않고 여전히 피곤하다면 수면장애를 의심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밥 먹으면 졸림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기본적으로 식곤증 해결방법을 위해서는 과식을 하지 말아야 하며, 식후에 가만히 앉아 있기 보다는 잠시 밖으로 나가 걸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혹은 15분 이내로 짧은 낮잠을 자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식곤증이 너무 심해서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아직 내가 모르고 있는 특정 질병이 있거나, 그 전조증상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검사를 한 번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빨리 자야 되는데 잠이 안올때? 숙면 호흡법

Leave a Comment